Easy-Pass(가칭) 정의 및 개발

- 교보생명 가입심사팀

1. 개요

Easy-Pass(가칭)는 실손보험(5년 이상) 유지한 고객 중 병력이 비교적 적은 고객을 대상으로, 단 2가지 알릴의무만 고지하면 별도의 심사자 개입 없는 즉시 계약 체결을 목표로 함.


2. 핵심 고지사항 (2 Questions)

가입자는 아래 두 가지 항목만 ’예/아니오’로 답변.

  1. 최근 3개월 내 치료 여부
  2. 최근 5년 이내 10대 주요 질병 진단 여부

이 두 질문 외의 세부 질병 이력이나 경증 병력은 별도 고지 없이 가입 가능하며, 고지 위반 리스크를 최소화하도록 설계(Pass한 사항에 대해서는 향후 고지의무 위반으로 인한 제한 없음).


3. 제도적 특징

구분 기존 인수심사 Easy-Pass
고지 항목 수 다수(10-20개 이상) 2개 질문으로 단순화
심사 방식 수기 심사자 개입 자동 심사 (즉시 계약)
병력자 가입 경증 병력자 제한 일부 표준체로 간주, 가입 가능
보험료 동일 또는 인상 없음 기존 수준 유지
심사 소요시간 심사시간에 따라 다름 실시간 자동 처리

4. 개발 배경

이번 SCOR와 함께 도입한 실손 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자동 심사 가능 고객군을 도출. 이 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고객에 대해서는 즉시 계약을 승인하도록 설계.


5. 개발 방식

5.1 데이터 준비

  • 과거 10년 이상 실손 보험금 청구 이력 데이터 (KCD, 입원, 수술, 통원 등)
  • ICIS 보험금 청구 데이터
  • 상품, 담보별, 질병별 손해율 데이터

5.2 인수심사 기준 정의

  • 기존 심사기준에 따라 표준체 혹은 표준체 + \(\alpha\) 정의 (표준체와 표준체에 가까운 간편 대상자)
    1. Rule-based filtering

      • 규제·사고 리스크가 큰 질환군은 명확히 “불가” 규칙 적용

      • 위와 같이 명확한 부분에 대해서는 모델링이 필요 없음. 모델이 이런 명확한 규칙을 학습하려 하면, noise와 overfitting이 발생

    2. Data analysis & Modeling

      • 질병 위험도 (가장 위험한 부분부터 도려내는 방식으로 위험도 재계산)

      • 동일 질병군 내의 경증/중증 판단 (입원, 수술에 의한 심도)

      • Main/Sub, 복합 질병군

      • 시간적 패턴

      • 질병별 연령변수 보정 (대부분의 모델에서 age가 차지하는 부분 과다, 꼭 의심)

    3. Guideline development

      • 데이터 혹은 모델을 바탕으로 설득력있는 가이드라인 개발

      • 또는 정량적 모델로 치환 (lightgbm, regularized logistic etc…)

      • 손해율 안정성을 위해서는 안전한 부분부터 보수적인 도입 필요

5.3 프로세스 정립 및 인터페이스 개발

graph TD
  A{"실손 보유 여부"} --> |PASS| B["Easy-Pass"]
  A --> |FAIL| C["K-Pass"]
  B --> D["고객 입력 - 2가지 질문"]
  D --> E["ICIS 실손보험 청구이력 조회(352,702전문)"]
  E --> F["데이터 병합 및 정리\n1.데이터 개선\n2.대표질병에 따른 분류"]
  F --> G["자동심사"]
  G --> H{"PASS 여부 판정"}
  H -->|PASS| I["즉시 계약 체결"]
  H -->|FAIL| C

#ICIS Claim Data Pre-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