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사기 탐지를 위한 비용 매트릭스
소개
보험회사에서 비용 매트릭스는 사기 탐지에서 발생하는 예측 오류의 비용을 반영하는 데 유용합니다. 사기 탐지는 재정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이며, 잘못된 예측이 미치는 영향은 비대칭적일 수 있습니다.
예측 오류의 종류
보험 사기 탐지에서 중요한 예측 오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거짓 긍정 (False Positive, FP): 정상적인 클레임을 사기로 잘못 분류한 경우.
- 거짓 부정 (False Negative, FN): 사기인 클레임을 정상적인 클레임으로 잘못 분류한 경우.
각 오류는 다른 비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1. 거짓 긍정 (FP)
- 정상적인 클레임을 사기로 잘못 판단한 경우 보험회사는 추가 조사 비용을 지출하게 되며, 고객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신뢰를 잃을 수 있습니다.
2. 거짓 부정 (FN)
- 사기인 클레임을 정상적인 클레임으로 잘못 판단한 경우, 보험회사는 해당 사기 클레임에 대해 보상을 지급하게 되어 상당한 재정적 손실을 초래합니다.
사기 탐지를 위한 비용 매트릭스 예시
다음과 같은 클레임 처리 비용을 가정합니다:
- 조사 비용: 의심스러운 사기 클레임을 조사하는 데 드는 비용은 100만 원입니다.
- 사기 클레임 손실: 사기 클레임에 보험금을 지급할 경우 평균적으로 1억 원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상황을 반영한 비용 매트릭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정상 (Class 0) | 실제: 사기 (Class 1) | |
---|---|---|
예측: 정상 (Class 0) | C(0,0) = 0 | C(0,1) = 1억 원 (사기 클레임 손실) |
예측: 사기 (Class 1) | C(1,0) = 100만 원 (조사비용) | C(1,1) = -9,900만 원 |
설명
- C(0,0) = -100만 원: 정상 클레임을 정확히 예측했을 때 100만원의 사고 조사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C(1,0) = 100만 원: 정상 클레임을 사기로 잘못 예측했을 때 조사 비용이 발생합니다.
- C(0,1) = 1억 원: 사기 클레임을 정상으로 잘못 예측했을 때 보험회사는 사기 클레임에 대해 보상금 지급으로 인해 큰 손실을 입습니다.
- C(1,1) = -9,900만 원: 사기 클레임을 정확히 탐지했을 때 조사비용을 제외한 9,900만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실제 적용 예시
1. scikit-learn
에서 class_weight
사용
RandomForestClassifier
와 같은 모델에 비용 매트릭스를 반영하려면, 각 클래스에 가중치를 설정하여 오류를 다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기 클레임을 놓치는 것(FN)에 대한 비용이 크기 때문에 사기 클래스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 클래스 1(사기)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거짓 부정을 줄임
= RandomForestClassifier(class_weight={0: 1, 1: 100})
model model.fit(X_train, y_train)
2. 혼동 행렬을 이용한 총 비용 계산
혼동 행렬에 비용 매트릭스를 적용해 예측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총 비용을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import numpy as np
from sklearn.metrics import confusion_matrix
# 실제값과 예측값
= [0, 1, 0, 1, 0, 1, 0, 0, 1, 1] # 실제 클래스 (0: 정상, 1: 사기)
y_true = [0, 0, 0, 1, 0, 1, 1, 0, 1, 0] # 예측 클래스
y_pred
# 혼동 행렬 계산
= confusion_matrix(y_true, y_pred)
cm
# 비용 매트릭스 정의
= np.array([[0, 1e6], # C(0,0)=0, C(0,1)=1백만원 (조사 비용)
cost_matrix 1e8, 0]]) # C(1,0)=1억원 (사기 손실), C(1,1)=0
[
# 총 비용 계산
= np.sum(cm * cost_matrix)
total_cost
print(f"Total Cost: {total_cost}")
비용 매트릭스를 사용할 때의 장점
- 재정적 손실 최소화: 사기 클레임을 놓쳤을 때 발생하는 손실을 줄이는 방향으로 모델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자원 효율성: 불필요한 조사를 줄이고 중요한 사기 클레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현실적인 모델 평가: 단순한 정확도 대신, 실제 업무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기반으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결론
보험 사기 탐지를 위해 비용 매트릭스를 사용하면, 보험 회사는 재정적 손실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둔 모델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예측에 따른 비용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여, 단순한 정확도 이상의 실질적인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